3. 꽹과리의 기초 |
1. 자세
1. 손 붙이기. 턱에 대고 밀어서 위치 잡기.
2. 왼손에 쇠를 걸고 끈을 조절한 후, 손가락으로 가볍게 밀어 보기.
3. 쇠를 놓고 채를 잡아 손바닥을 쳐 보기.
2. 호흡
1. 손끝을 붙이고 옆구리 치면서 반원을 그리고 타 !.
2.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허리 호흡을 지키면서.
3. 3 박 호흡을 숙지할 수 있도록. - 정점. 겹치는 파도.
4. 호흡을 줄이기. 반원을 그리고 타, 그리고 타, 열광 박수.
3. 타법
1. 채로 손바닥 치기 --- 팔꿈치 운동에 의해 치도록. 시계 추 - 반원 방법.
2. 내가 살던 고향은--- 호흡에 의해서 손바닥 치기.
3. 호흡이 자연스럽고 자세가 안정되면 쇠를 들기.
4. 타점 짚고, 청테이프 붙여 치기 -- 반원을 그리고 타!!
5. 호흡 줄이기 - 8 - 4 - 2 - 1.
3. 장 - -
1. 주문을 외면서 8 에 장 - -
2. 4 에 장 - - , 2 에 장 - - , 1 에 장 - -
3. 3 박 호흡에 치기 --- 굿거리, 삼채 박자에.
4. 3 박 호흡에 12 박을 치기.
4. 막음새
1. 뒤에 막기 ( 손목 제치기 ) 와 밀고 치기 ( 쇠를 던지기 )
2. 뒤에 막으며 점차 빠르게 - - - 일채 치기
3. 밀고 치며 점차 빠르게 - 일채 - 둘의 결과가 같음을 이해하는가 ?
5. 자장 -
1. 1 타 2 피 숙지하기 - - - 들어가며 자, 나오면서 장 --.
2. 밀고 치기로 막음새 하기.
3. 장 - 자장 - 으로 호흡을 넘겨서 치기 - - - 3 박 호흡이 되는가 ?
6. 자자장 -
1. 1 타 3 피 숙지하기.
2. 밀고 치기로 3 타 모두 막음새 하기.
3. <장 - 자자장 - >으로 굿거리의 호흡과 타법(팔꿈치) 잡기.
7. <장 - 자> 와 <자 장 - >
1. 호흡을 안정되게 가지기.
2. <자장 - > 과 <장 - 자 > 의 차이점 숙지하기 - 계단 오르내리기.
3. <자장 - > 과 <장 - 자 > 를 섞어서 삼채의 호흡을 잡아 보기.
4. <장 - 자 / 자 장 - > 과 < 장 - 자자장 - > 의 차이점 숙지하기.
5. <장 - 자 / 자 장 - > 셈 여림, 내고 달아 맺고 푼다는 원리를 알기.
6. <자 자 자 자 장 - > 과 < 자 자 자/자 장 - > 의 차이점.
8. 삼채 기본 가락
1 |
자장 |
자장 |
자장 |
자장 |
|
4 |
장 자 |
읏장 |
장 자 |
읏장 |
|
| |||||||||
2 |
장 자 |
장 자 |
장 자 |
장 자 |
5 |
읏장 |
장 자 |
읏장 |
자장 | |
|
| |||||||||
3 |
장 자 |
자장 |
장 자 |
자장 |
6 |
장 자 장- /장 |
읏자자 -/자 자 |
장 - - |
- - - |
1 |
장 자 |
장 자 |
장 자 |
자장 |
|
2 |
장 자 |
읏자자 |
읏장 |
자장 |
|
| |||||||||
자장 |
장 자 |
장 자 |
자장 |
자장 |
자자자 |
읏장 |
자장 |
9. 굿거리 기본 가락
1 |
장 -- 장 |
장 -- 장 |
장 -- 그장 |
장 -- 장 | |||||
| |||||||||
2 |
장- 장- 장- |
장- 장- 장- |
장- 장 그장- |
장 -- 장 | |||||
| |||||||||
3 |
장- 자자장 |
장- 자자장 |
장- 자자장 |
장 -- 장 | |||||
| |||||||||
4 |
자자장- 장 |
자자장- 장 |
자자장- 장 |
장 -- 장 | |||||
| |||||||||
5 |
자자자자장- |
자자자자장- |
자자자자자자 |
장- 자자장 | |||||
| |||||||||
6 |
자자장- |
자자장- |
자자장- |
자장- |
자장- |
장- |
뚝- |
- - |
10. 동살풀이 기본 가락
1 |
2 |
3 |
4 | ||||||||||||
| |||||||||||||||
장 |
|
- |
|
장 |
|
- |
|
장 |
- |
장 |
- |
읏 |
- |
장 |
- |
| |||||||||||||||
자 |
자 |
장 |
- |
자 |
자 |
장 |
- |
장 |
- |
장 |
- |
읏 |
- |
장 |
- |
| |||||||||||||||
장 |
|
- |
|
듯 |
- |
장 |
- |
읏 |
- |
장 |
- |
읏 |
- |
장 |
|
| |||||||||||||||
자 |
자 |
장 |
- |
장 |
- |
자 |
자 |
읏 |
자 |
장 |
|
장 |
- |
장 |
|
11. 휘모리 기본 가락 入․出
쥔 |
쥔 |
문 여 |
소 |
문 안 |
열 면 |
갈 라 |
요 |
| |||||||
문 여 |
소 |
문 여 |
소 |
문 안 |
열 면 |
갈 라 |
요 |
| |||||||
달 도 |
달 도 |
밝 |
다 |
명 |
천 도 |
밝 |
다 |
| |||||||
별 |
따 세 |
별 따 |
세 |
하늘 |
잡 고 |
별 따 |
세 |
이 가락으로 연습을 해서 < 그장 >을 숙지하도록.
4. 판굿의 꽹과리 가락 |
1. 입장할 때의 꽹과리 가락
1. 일채
- 작 /장 - 장 - 장 - 장-장-장 장 자자자자자자르르 ----- 딱/ |
2. 휘모리
1 |
장 그 |
작- 그 |
장 그 |
작- 그 | ||||||||
| ||||||||||||
2 |
장 그 |
작- 그 |
장 그 |
작- 그 | ||||||||
| ||||||||||||
3 |
장 그 |
작 그 |
장 그 |
작 그 |
| |||||||
| ||||||||||||
4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
| ||||||||||||
5 |
장 |
장 |
장 |
장 |
|
|
장 장 장 장 장 장 장 자자자르르 ---------- 딱 |
3. 인사굿 -- 내드림
장 장 - |
장 장 - |
자자장-장 |
장 - 작 |
- - - 작 |
- - - 작 |
인 사 굿 |
내 드 림 |
1 2 3 4 |
1 2 3 4 |
1 2 3 4 |
1 2 3 4 |
- - - 작 |
- - - 작 |
자르르르 - 작 |
- - - 작 |
- |
작 |
- |
작 |
- |
작 |
- |
장 |
장 장 장 장 장 장 장장장장자자르르--- |
4. 휘모리 - 인사
2. 첫째 마당에서의 꽹과리 가락
1. 굿 거 리
기본 가락 1. ― 짜임새
1 |
장 |
- |
장 |
장 |
- |
장 |
장 |
- 그 |
장 |
장 |
- |
장 |
| ||||||||||||
2 |
장 |
- |
장 |
장 |
장그 |
장 |
장 |
- 그 |
장 |
장 |
자자 |
장 |
| ||||||||||||
3 |
장 |
자자 |
장 |
장 |
자자 |
장 |
장 |
자자 |
읏자 |
장 |
자자 |
장 |
삼채형과 굿거리형의 대조 필요 | ||||||||||||
4 |
자자 |
장 |
장 |
장 |
자자 |
장그 |
장그 |
자장 |
- 자 |
읏자 |
장 |
장 |
| ||||||||||||
5 |
장 |
장 |
자자 |
읏자 |
자자 |
장 |
자자 |
읏자 |
장 |
장 |
장 |
듯 |
| ||||||||||||
6 |
장 |
- |
듯 |
자자 |
자자 |
장 |
자장 |
- 장 |
- 그 |
장 |
듯 |
장 |
기본 가락 2. ― 보조 올리고
1 |
장 |
장 그 |
장 |
장 |
장 그 |
장 |
장 |
장 그 |
장 그 |
장 |
장 그 |
장 그 | |
| |||||||||||||
2 |
장 |
장 그 |
장 그 |
장 |
장 그 |
장 그 |
장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
| |||||||||||||
3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
장 그 |
장 그 | |
| |||||||||||||
4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
| |||||||||||||
5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 |
장 그자 |
장 그자 |
장 그자자장 | ||||
| |||||||||||||
6 |
자 자 장 |
자 자 장 |
자 자 장 |
자장 |
자장 |
장 |
자자 |
장 |
6의 후반부는 온전한 삼채가 된다. 이렇게 만들어서 풍류로 가거나, 대개는
삼채로 건너 뛰게 된다. 내고, 달아서, 맺고, 푼다는 이야기. 셋에 하나 털기.
2. 풍 류
장 - |
장 - |
-- |
자자 |
장 - |
-- |
| |||||
장 - |
장 - |
-- |
자자 |
장 - |
자- |
| |||||
장 - |
장 - |
자- |
자자 |
장 - |
자- |
| |||||
장 - |
장 - |
자- |
자자 |
장 - |
자자 |
| |||||
장 - |
장 - |
자자 |
읏자 |
장 - |
장 - |
| |||||
장 - |
장 - |
자자 |
읏자 |
자자 |
장 - |
| |||||
장 - |
장 - |
장 - |
자자 |
자자 |
장 - |
자장 - |
자장 - |
장 - 자 |
자장 - |
| |||
자장 - |
장 - 자 |
장 - 자 |
자장 - |
| |||
자장 - |
자 자 자 |
장 - 자 |
자장 - |
| |||
장 - 장 |
- 자자 |
읏 자장 |
- 장 |
| |||
자자장 |
- 자자 |
장 - 자 |
자장 - |
| |||
장 - 자 |
자장그 |
장 그자 |
자 자 자 |
| |||
자장 - |
자장 - |
장 - - |
듯 |
1 |
|
|
|
|
|
|
|
|
|
|
| ||||||||||
2 |
|
|
|
|
|
|
|
|
|
|
| ||||||||||
3 |
|
|
|
|
|
|
|
|
|
|
| ||||||||||
4 |
|
|
|
|
|
|
|
|
|
|
3. 세 마 치 ( 양 산 도 )
마디 |
1 |
2 | ||||||||||||||||
| ||||||||||||||||||
호흡 |
1 |
2 |
3 |
1 |
2 |
3 | ||||||||||||
| ||||||||||||||||||
박자 |
1 |
2 |
3 |
1 |
2 |
3 |
1 |
2 |
3 |
1 |
2 |
3 |
1 |
2 |
3 |
1 |
2 |
3 |
| ||||||||||||||||||
꽹과리 가락 |
장 - - |
장 - 자 |
자 장 - |
자 장 - |
장 - 자 |
자 장 - | ||||||||||||
자 장 - |
장 - 자 |
자 장 - |
자 장 - |
장 - 자 |
자 장 - |
마지막을 <자 장 - /장 - - /듯--- >으로 치기도 하며,
또는 이 가락을 세마치에서 삼채로 넘기는 신호로 써도 무방하다.
4. 삼 채
1. 삼채 가락 ( 1 - 6은 기본, 7 부터는 중급, 12․13은 맺고 풀고)
1 |
장 |
- |
- |
장 |
- |
- |
장 |
- |
- |
장 |
- |
- |
장 |
- |
- |
자 |
장 |
- |
장 |
- |
자 |
자 |
장 |
- |
| ||||||||||||||||||||||||
2 |
장 |
- |
- |
장 |
- |
자 |
장 |
- |
자 |
자 |
장 |
- |
자 |
장 |
- |
장 |
- |
자 |
장 |
- |
자 |
자 |
장 |
- |
| ||||||||||||||||||||||||
3 |
장 |
- |
자 |
읏 |
장 |
- |
장 |
- |
자 |
자 |
장 |
- |
자 |
장 |
- |
읏 |
장 |
- |
장 |
- |
자 |
자 |
장 |
- |
| ||||||||||||||||||||||||
4 |
장 |
- |
자 |
읏 |
자 |
자 |
장 |
- |
자 |
자 |
장 |
- |
자 |
장 |
- |
자 |
자 |
자 |
장 |
- |
자 |
자 |
장 |
- |
| ||||||||||||||||||||||||
5 |
장 |
/ |
장 |
/ |
자 |
자 |
장 |
/ |
자 |
자 |
장 |
/ |
자 |
장 |
- |
읏 |
자 |
자 |
장 |
- |
자 |
자 |
장 |
- |
| ||||||||||||||||||||||||
6 |
자 |
자 |
자 |
읏 |
자 |
자 |
장 |
- |
자 |
자 |
장 |
- |
자 |
장 |
- |
자 |
자 |
자 |
읏 |
자 |
자 |
자 |
장 |
- |
| ||||||||||||||||||||||||
7 |
장 |
- |
자 |
읏 |
자 |
자 |
읏 |
장 |
그 |
자 |
장 |
그 |
자 |
장 |
- |
자 |
자 |
자 |
읏 |
장 |
그 |
자 |
장 |
그 |
| ||||||||||||||||||||||||
8 |
장 |
그 |
자 |
자 |
장 |
그 |
장 |
그 |
자 |
자 |
장 |
그 |
자 |
장 |
- |
자 |
장 |
그 |
장 |
그 |
자 |
자 |
장 |
그 |
| ||||||||||||||||||||||||
9 |
장 |
그 |
자 |
장 |
그 |
자 |
장 |
그 |
자 |
자 |
장 |
그 |
자 |
장 |
그 |
장 |
그 |
자 |
장 |
그 |
자 |
자 |
장 |
그 |
| ||||||||||||||||||||||||
10 |
장 |
그 |
자 |
장 |
그 |
자 |
장 |
그 |
자 |
장 |
그 |
자 |
장 |
그 |
자 |
장 |
그 |
자 |
장 |
그 |
자 |
장 |
그 |
자 |
| ||||||||||||||||||||||||
11 |
장 |
그 |
장 |
그 |
장 |
그 |
장 |
그 |
장 |
그 |
장 |
그 |
장 |
그 |
장 |
그 |
장 |
그 |
장 |
그 |
장 |
그 |
장 |
그 |
| ||||||||||||||||||||||||
12 |
자 |
장 |
- |
자 |
장 |
그 |
장 |
/ |
장 |
/ |
자 |
자 |
읏 |
장 |
- |
장 |
- |
자 |
장 |
- |
자 |
자 |
잣 |
- |
| ||||||||||||||||||||||||
13 |
장 |
- |
- |
자르르르르-- |
자 |
자 |
장 |
- |
장 |
- |
- |
- |
- |
- |
장 |
- |
- |
- |
- |
- |
삼채는 특히 < 짝 > 이라는 개념을 잘 이해 해야 한다. 모든 가락은 짝을 이루어 음(陰)과 양(陽)을 맞춰서 구성되어야지, 음만 겹치거나 양만 나오거나 비율이 눈에 띄게 어그러져도 좋은 가락이 아니다. 허나 파격이 없으면 또한 무슨 재미랴.
짝드름 가락
1 |
상쇠가 한 가락 치고 |
나머지가 한 가락 받아치고 |
1 |
자 장 - |
------ |
자장 - |
------ |
자 장 - |
------ |
자장 - |
------ |
| ||||||||
2 |
자 장 - |
자장 - |
자 장 - |
자장 - |
자 장 - |
자장 - |
자 장 - |
자장 - |
| ||||||||
3 |
장 - - |
자장 - |
자 장 - |
자장 - |
장 - - |
자장 - |
자 장 - |
자장 - |
| ||||||||
4 |
자 장 - |
자장 - |
자 장 - |
자장 - |
자 장 - |
자장 - |
자 장 - |
자장 - |
| ||||||||
5 |
자 장 - / 자 장 - / 장 - 자 /자 장 |
장 - 자 / 읏 장 그 / 장 - 자 /자 장 | ||||||
같이 친다. 이어서 덩덕궁 -- 매도지로 맺음. |
덩덕궁에서 매도지로 연결하는 가락
1 |
장 자 |
자 장 |
장 자 |
자 장 |
장 자 |
자 장 |
장 자 |
자 장 |
덩덕궁 | ||||||||
2 |
듯 듯 듯 |
듯 듯 듯 |
듯 듯 듯 |
듯 듯 듯 | ||||
↑ 매도지 연결가락 ↓ | ||||||||
3 |
듯 듯 듯 |
듯 듯 듯 |
자 장 |
자 장 |
장 장 |
장 |
짧은 매도지
자 자 장 - |
자 자 장 - |
자 자 장 - |
자 장 - |
자 장 - |
장 - 장 - 장 | ||||
| |||||||||
자 장 - |
장 - 자 |
장 - 자 |
자 장 - |
장----------- |
장 - 자 |
자 장 - | |||
| |||||||||
장 - - |
자르르르르-- |
듯 |
장---------- |
3. 둘째 마당에서의 꽹과리 가락
1. 동살풀이
장 |
듯 |
듯 |
듯 장 |
장 |
드드듯 |
장 장 |
읏 장 |
머릿 가락으로 한 짝을 던지고
1 |
1 | ||||||||||||||
|
| ||||||||||||||
1 |
2 |
3 |
4 |
1 |
2 |
3 |
4 | ||||||||
|
| ||||||||||||||
1 |
2 |
1 |
2 |
1 |
2 |
1 |
2 |
1 |
2 |
1 |
2 |
1 |
2 |
1 |
2 |
|
| ||||||||||||||
장 |
장 |
장 장 |
읏 장 |
자자장 |
자자장 |
장 장 |
읏 장 | ||||||||
|
| ||||||||||||||
장 - - 자 |
장 장 |
자자읏자 |
장 장 |
자자장 |
장 자자 |
읏자장 |
장 장 |
2. 진오방진
진 오 방 진 | |||||||||||||||||
| |||||||||||||||||
1 가 락 |
2 가 락 | ||||||||||||||||
| |||||||||||||||||
1호흡 |
2호흡 |
1호흡 |
2호흡 | ||||||||||||||
| |||||||||||||||||
춤 |
|
추 |
자 |
|
추 |
자 |
|
신 |
명 |
나 |
게 |
|
추 |
자 |
| ||
| |||||||||||||||||
장 |
|
자 |
자 |
읏 |
자 |
장 |
|
자 |
자 |
자 |
자 |
읏 |
자 |
장 |
| ||
| |||||||||||||||||
장 |
|
자 |
장 |
|
자 |
장 |
|
자 |
자 |
자 |
장 |
|
자 |
장 |
| ||
| |||||||||||||||||
1보 |
2보 |
3보 |
4보 |
1보 |
2보 |
3보 |
4보 |
동살풀이와 진오방진 가락의 되돌이
동살풀이 1 |
장 |
|
장 |
|
장 |
장 |
읏 |
장 |
동살풀이 본가락. 10여 차례 친다고 느긋하게 생각하라. 넷째 가락을 아래처럼 치면 진오방진으로 넘어간다. |
| |||||||||
자자 |
장 |
자자 |
장 |
장 |
장 |
읏 |
장 | ||
| |||||||||
장 |
자 |
장 |
장 |
자자 |
읏자 |
장 |
장 | ||
| |||||||||
자자 |
장 |
장 |
자자 |
읏자 |
장 |
장 |
장 | ||
| |||||||||
|
자자 |
장 |
자자 |
장 |
장 |
자자 |
읏자 |
장 |
진오방진으로 넘기는 신호 |
| |||||||||
진 1 |
장 |
자자 |
읏자 |
장 |
자자 |
자자 |
읏자 |
장 |
어떤 구음을 쓰느냐에 따라서 전혀 다른 느낌의 가락이 된다. |
| |||||||||
장 |
자장 |
자 |
장 |
자자 |
자장 |
자 |
장 | ||
| |||||||||
|
자자 |
장 |
자자 |
장 |
장 |
장 |
읏 |
장 |
동살풀이 되돌이 신호 |
| |||||||||
동살풀이 2 3 |
장 |
|
장 |
|
장 |
장 |
읏 |
장 |
한 번 치고 말기엔 너무나 아쉬운 동살풀이 마지막 넷째 가락은 다시 진오방진으로 넘어가라는 신호 가락 |
| |||||||||
자자 |
장 |
자자 |
장 |
장 |
장 |
읏 |
장 | ||
| |||||||||
장 |
|
장 |
|
장 |
장 |
읏 |
장 | ||
| |||||||||
자자 |
장 |
자자 |
장 |
장 |
자자 |
읏자 |
장 | ||
| |||||||||
진 2 3 |
장 |
자자 |
읏자 |
장 |
자자 |
자자 |
읏자 |
장 |
|
| |||||||||
장 |
자장 |
자 |
장 |
자자 |
자장 |
자 |
장 | ||
| |||||||||
|
자자 |
장 |
자자 |
장 |
장 |
장 |
읏 |
장 |
|
| |||||||||
동살 풀이 4 |
장 |
|
장 |
|
장 |
장 |
읏 |
장 |
|
| |||||||||
자자 |
장 |
자자 |
장 |
장 |
장 |
읏 |
장 | ||
| |||||||||
장 |
|
장 |
|
장 |
장 |
읏 |
장 | ||
| |||||||||
자자 |
장 |
자자 |
장 |
장 |
장 |
읏 |
장 | ||
| |||||||||
|
장 |
|
자르르르르-- |
작 |
|
털고, 앉아서 쉰다. | |||
| |||||||||
- 장------------------- |
'장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장단의 개념 (0) | 2013.04.21 |
---|---|
[스크랩] 장단 이란 (0) | 2013.04.21 |
[스크랩] 김병섭설장구 연습 (0) | 2012.11.23 |
'12 충장축제의 연심이와 놀이마당 패들 (0) | 2012.10.09 |
[스크랩] 김오채 선생님-설장구 (0) | 201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