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향가
- 춘향가
춘향가>는 남원 퇴기 월매의 딸인 성춘향이 남원 부사의 아들인 이몽룡과 백년 가약을 맺었으나 이별한 뒤에, 신임 사또의 수청을 거절하여 옥에 갇히자, 암행어사가 된 몽룡이 구해 준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으로, 문학성으로나, 음악성으로나, 연극적인 짜임새로나, 지금까지 전해지는 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서 가장 예술성이 높은 마당으로 꼽힌다.
판소리의 춘향과 몽룡의 사랑 이야기는, 한문으로 된 이야기 책에서 따 온 것이라느니, 한글로 적힌 이야기 책에서 따 온 것이라느니, 중국의 옛날 희곡인 원곡에서 따 온 것이라느니, 남원의 양 진사가 광대에게 행하 돈 대신으로 지어 준 것이라느니, 남원의 신임 사또가 못생긴 어떤 처녀의 원혼을 달려려고 마련한 살풀이굿에서 비롯되었다느니 말들이 많았으나, 요즈음에는, 에 전하는 성세창의 사랑 이야기나, 에 전하는 기생 이야기와 같은 여러 사랑 이야기들이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 이야기로, 또 노정의 암행어사 이야기나, 박문수 암행어사 이야기와 같은 여러 암행어사 이야기가 이몽룡 암행어사 이야기로 되어, 그 전해지는 이야기를 가색이 소리로 짠 것이라는 데에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춘향의 이야기가 어느 때부터 판소리로 불리게 되었는지를 알 갈이 없으나, 영조 30년에 유진한의 문집인 에 실린 “가사 춘향가 이백귀”라는 글에, 가색이 춘향의 이야기를 판소리로 부르는 것이 시로 읊어져 있으며, 순조 때의 문인인 송만재가 적은 “관우희”라는 글에는 가 판소리 열두 마당 가운데 하나로 꼽히고 있음으로 보아, 는 적어도 숙종 무렵에는 판소리로 불리기 시작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역대 명창 가운데 를 잘 부른 명창으로 순조 때의 사람들을 살펴보면 먼저 ‘가왕’으로 불리던 송흥록을 들 수 있다. 그는 가운데서도 특히 ‘옥중가’를 잘했는데, 그 가운데서도 귀신의 울음 소리를 나타내는 ‘귀곡성’ 대목을 잘 불렀다고 한다. 염계달은 춘향이 매 맞는 대목을 잘 불렀다는데, 춘향이 매를 맞고 쓰러지자 집장 사령과 남원 한량들이 변사또를 원망하는 대목을 경드름으로 지어 부른 것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모홍갑은 춘향과 몽룡이 이별하는 대목 가운데서 “날 다려가오”로 시작되는 부분을 강산제로 지어 불러 이름이 높았다. 송광록이 ‘사랑가’ 가운데서 몽룡이 부르는 대목을 웅장하고 유유한 가락으로 지은 ‘긴 사랑가’가 오늘에까지 전해지고, 고수관이 몽룡의 ‘사랑가’대목을 추천목으로 지은 것이 ‘잦은 사랑가’가 오늘에까지 전해지고 있다.
철종 때의 명창으로는 먼저 박유전을 들 수 있는데, 그는 충향이 몽룡과 이별하는 대목 가운데서 춘향이 슬프게 노래하는 대목을 잘 짜 불렀으며, 이석순은 몽룡이 처음으로 춘향 집에 가서 방에 걸린 서화를 감상하는 대목을 잘 지어 불렀다고 한다. 박만순은 춘향이 옥에서 지낼 때에 꿈에 중국의 열녀들과 만나는 대목을 잘 짜서 불렀고, 김세종은 몽룡이 천자문을 풀이하는 대목을 잘 짜서 불렀으며, 이날치는 춘향이 옥에서 몽룡을 생각하고 슬피 탄식하는 대목인 ‘춘향 자탄가’를 잘 불렀다고 한다.
고종 때의 명창인 장자백은 광한루에서 몽룡과 춘향이 만나는 대목을 잘 불렀다고 한다. 고종 끝무렵의 유공렬은 몽룡이 이별하게 된 일을 춘향에게 알리러 가면서 탄식하는 대목을 잘 했으며, 송만갑은 ‘농부가’ 대목을 잘했다고 한다. 정정렬은 변사또가 남원으로 내려오는 ‘신연맞이’대목을 잘했다는데, 또한, 그가 새로 짜서 부른 가 썩 잘 되어서 한때 크게 유행하였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에는 임방울이 춘향이 옥에서 몽룡을 그리워하며 눈물 지어 부르는 노래인 ‘쑥대머리’를 잘 불러 크게 유행하게 하였다.
해방이 되고 난 뒤에는 판소리가 많이 쇠약해졌으나, 그런 가운데서도 김연수는 를 새로 길게 짜서 불렀는데, 그의 제자 오정숙이 여덟 시간 반쯤에 걸쳐 부른 적이 있다. 이에 앞서, 박동진도 새로 짠 를 여덟 시간쯤에 걸쳐 쉬지 않고 불러 사람들을 놀라게 한 일이 있었다. 오늘날 를 부르는 명창들에는 이밖에도 김여란, 김소희, 정광수, 박봉술, 정권진, 성우향, 조상현, 성창순과 같은 사람들이 있는데, 김여란은 정정렬의 바디를, 박봉술은 형인 박봉래에게서 전해 받은 송만갑 바디를, 정권진, 성우향, 성창순, 조상현은 김찬업과 정응민을 차례로 거쳐 전해진 김세종 바디를, 정광수는 김창환 바디를 부르고 있다.
는 이야기의 줄거리나 소리의 음악적인 짜임으로 따져, 첫째로, 몽룡이 광한루에서 춘향과 만나는 대목, 둘째로, 몽룡이 천자풀이를 하는 대목에서 두 사람이 사랑가를 부르는 대목까지, 세째로, 이별하는 대목, 네째로, 신연맞이 대목에서 춘향이 옥중가를 부르는 대목까지, 다섯째로, 몽룡이 과거에 급제하고 전라 어사가 되어 남원으로 내려와서 춘향 어머니와 옥에 갇혀 있는 춘향을 만나는 대목까지, 여섯째로, 변 사또의 생일 잔치가 벌어지는 데에서 뒤풀이까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부분은 화창한 광한루 경치를 배경으로, 몽룡, 춘향, 방자, 향단의 즐거운 거동이 그려지므로, 소리는 중몰이와 중중몰이 장단에 화평스러운 우조나 평조가 많이 쓰인다. 둘째 부분은 몽룡과 춘향이 아기자기하게 사랑을 나누는 정경이 그려지기 때문에, 중몰이와 중중몰이 장단에 화평스러운 평조가 많이 쓰인다.
세째 부분은 춘향이 몽룡과 이별하는 슬픈 대목이어사, 진양과 중몰이 장단이 많고, 계면조가 주로 쓰인다. 네째 부분은 변 사또가 내려오는 신연맞이 대목, 기생을 점고하는 대목, 춘향이 매를 맞으면서도 뜻을 굽히지 않는 대목, 옥에 갇혀 탄식하는 대목들로 이루어져 장면의 변화가 많으므로, 장단도 진양, 중몰이, 중중몰이, 잦은몰이가 뒤섞이고, 조도 우조, 평조, 계면조, 설렁제 따위로 자주 바뀐다.
다섯째 부분은, 몽룡이 과거에 급제하여 어사가 되어 내려오는 대목에서는 잦은물이 장단에 우조가 많이 쓰이고, 몽룡이 춘향 어머니와 옥에 닫힌 춘향을 만나는 대목은 진양과 중몰이 장단에 슬픈 계면조가 많이 쓰인다. 여섯째 부분은, 사또의 생일 잔치와 어서 출도 대목에는 잦은몰이 장단에 우조가 많이 쓰이고, 몽룡이 춘향과 춘향 어머니를 만나는 대목에는 중몰이와 중중몰이 장단에 평-계면조가 많이 쓰인다.
영웅열사(英雄烈士)와 절대가인(絶對佳人)이 삼겨날 제 강산정기(江山精氣)를 타고 나는디 군산만학부형문(群山萬壑赴荊門)에 왕소군(王昭君)이 삼겨나고 금강활이아미수(錦江滑 峨嵋秀)에 설도문군탄생(薛濤文君誕生)이라. 우리나라 호남좌도(湖南左道) 남원부(南原府)는 동으로 지리산 서으로 적성강(赤城江) 산수정기(山水精氣) 어리어서 춘향이가 삼겼겄다.숙종대왕(肅宗大王) 직위초(卽位初)에 서울 삼청동(三淸洞) 사는 이 한림(李 翰林)이 계시난디 세대명문지족(世代名門之族)이요, 국가 충신지후예(國家忠臣之後裔)라, 상감께서 충의록(忠義錄)을 보시고 이 생원을 돌령(郭寧) 참봉(參奉) 출육시켜 과천현감(果川縣監) 두어도목 지낸 후 남원부사(南原府使)로 제수(除授)허시니 도임(到任)한 지 수삭(數朔) 만에 백성에게 선치(善治)하사 거리거리 선정비(善政碑)요 곳곳마다 칭송가(稱頌歌)라 그 사또 자제 한 분을 만득(晩得)으로 두었으되 용몽을 얻어 낳은 고로 이름을 꿈몽(夢)자 용용(龍)자 몽용이라 지었겄다.부친 따러 골에 와서 책실에서 공부할 제 때마참 오월 단오절이라 일기 화창하니 남원산세 구경차로 방자를 불러 물으시겄다." 이 얘 방자야 너의 고을에 볼 만한 승지강산(勝地江山)이 어디 어디 있느냐?""공부하시는 도련님이 승지는 찾어 무엇하시랴오?""늬가 모르는 말이로다. 천하제일 명승지 도처(到處)마다 글귀로다. 내 이를게 들어봐라."
秋夜月)에 소자첨(蘇子瞻)도 놀았고 채석강명월야(采石江明月夜)의 이적선(李敵仙)이도 놀았고 등왕각(藤王閣) 봉황대(鳳凰臺) 문장명필(文章名筆)의 자취라. 내 또한 호협사(豪俠士)로 동원도리(東園挑李) 편시춘(片時春) 낸들 어이 허송(虛送)헐거나 잔말 말고 일러라'"도련님 분부 그러 하옵시니 낱낱이 여쭈리다."
"동문밖 나가면 금수청풍(錦水淸風)의 백구(白鷗)난 유랑(遊浪)이요. 녹림간(綠林間)의 꾀꼬리 환우성(喚友聲:벗을 부르는 소리) 제서 울어 춘몽을 깨우난 듯 벽파상(碧派上) 떼오리는 왕왕(往往)이 침몰하여 은릭옥척(銀鱗玉尺)을 입에 물고 오락가락 노난 거동 평사낙안(平沙落雁)이 분명허고 선원사(禪院寺) 쇠 북소리 풍편에 탕탕 울려 객선의 떨어져 한산사(寒山寺)도 지척인 듯 석춘(惜春)하는 연소들은 혹선 혹후 어깨를 끼고 오락가락 노는 거동 도련님이 보셨으면 외도 할 마음이 날 것이요,남문밖을 나가오면 광한루(廣寒樓) 오작교(烏鵲橋) 영주각(瀛洲閣)이 있사온디 삼남 제일승지니 처분하여서 가옵소서."
"늬 말을 듣더라도 광한루가 제일 좋구나. 광한루 구경가게 나귀 안장 속히 지어 사또님 모르시게 삼문밖에 대령하라.""예이"
방자 분부듣고 나귀 안장 짓는다. 홍영자공(紅纓紫 :붉은 고삐와 재갈) 산호편(珊瑚鞭) 옥안금천(玉鞍錦薦) 황금륵(黃金勒) 청홍사 고운 굴레 상모(象毛) 물려 덤벅 달아 앞 뒤 걸쳐 질끈 매 칭칭다래 은엽등자(銀葉 子) 호피도둠이 좋다. 도련님 호사헐 제 옥골선풍 고운 얼굴 분세수(粉洗手) 정이하야 긴 머리 곱게 따 갑사(甲紗)댕기 듸렸네. 선천동우주(宣川東羽綢) 겹저고리 당모시 상침바지 외씨 같은 고운 발 극상세목(極上細木) 보선 지여 남 수갑사(繡甲紗)로 대님매 진안(鎭安) 모수 통행전(通行廛) 쌍문초(雙紋 ) 겹동옷에 청중추막(靑中赤莫)에 도복 받혀 당분함(唐分含) 띠 맺네. 갑사복건 만석당혜 나귀등 선뜻 올라 뒤를 싸고 앉은 후 채금당선(彩錦唐扇) 좌르르 피어 일광을 가리우니 하릴없는 선동이라. 관도성남(官道城南) 너른 길 기봉하(奇峰下)에 나는 띠끌 광풍 쫓아 펄펄 도화점점 붉은 꼭 보보향풍(步步香風) 뚝 떨어져 쌍옥제변(雙玉蹄邊) 네 발굽 걸음걸음이 생향이라. 일단선풍(日團仙風) 도화색 위절도(魏節度) 적표마(赤驃馬)가 이 걸음을 당할소냐 가련인마(可憐人馬) 상광휘(相光輝)니 만성견자(滿城見子) 수불애(誰不愛)라. 취과양주(醉過楊洲) 귤만거(橘滿車)의 두목지(杜牧之) 풍채로구나. 호호거리고 나간다.도련님 나귀나려 풀 띄끼고 사면경치를 살펴보시난디,
적성의 아침날의 늦인 안개는 띄어 있고 녹수의 저문 봄은 화류동풍 둘렀는디 요헌기구(瑤軒綺構) 하최외(何崔嵬)난 임고대(臨高臺)로 일러있고 자각단루(紫閣丹褸) 분조요(紛照耀)난 광한루를 이름이로구나. 광한루도 좋거니와 오작교가 더욱 좋다. 오작교가 분명허면, 견우직녀(牽牛織女) 없을소냐 견우성은 내가 되려니와 직녀성은 게 뉘랴 될고, 오날 이곳 화림중(花林中)에 삼생연분(三生緣分)을 만나를 볼까
"좋다 좋다 호남 제일루라 하겠다. 때는 천중지가절이요 또한 이러한 승지 좋은 데 술이 없어 되겠느냐 술상 가져 오너라."술상 놓고 이 삼배 자시더니 취흥(醉興)이 도도하야 글 한수를 지어 읊었으되 춘향 상봉할 글이었다.교명오작선인교(橋名烏鵲仙人橋)요 루호광한(樓號廣寒) 옥경루(玉京樓)를 차문전생(借問前生) 수직녀(誰織女)오 지응금일(知應今日) 아견우(我牽牛)를 글지어 읊은 후에 다시 일어 배회(徘徊)할 제
앉었다 일어나 두루두루 거닐며 팔도강산 누대경계 손꼽아 헤아린다. 장성일면용용수 대야동두점점산(長城一面溶溶水大野東頭點點山) 평양감영은 대동문 연광정(練光亭)일렀고 주렴취각(珠簾翠閣)은 벽공의 늘어져 수호문창(繡戶紋窓)의 덩실솟아 앞으로난 영주각 뒤로는 무릉도원(武陵桃源)흰 백자 붉은 홍은 숭얼숭얼 꽃피고 붉은 단 푸른 청은 고물고물이 단청이라 유막황앵환우성(柳幕黃鶯喚友聲) 벗 보니 은하수요 경(景)은 정녕 옥경인디 옥경이 분명허면 월궁항아(月宮姮娥)가 없을소냐.
백백홍홍 난만중(爛漫中)에 어떠한 미인이 나온다. 해도 같고 달도 같은 어여쁜 미인이 나와 저와 같은 계집아이를 앞을 세우고 나온다.장장채승(長長彩繩) 그넷줄 휘느러진 벽도(碧桃)까지 휘휘 칭칭 감어매고 섬섬옥수(纖纖玉手) 번 듯 들어 양 그네줄을 갈라잡고 선뜻올라 발굴러 한번을 툭 구르니 앞이 번 듯 높았네 두 번을 구르니 뒤가 점점 멀었다. 머리위에 푸른 버들은 올을 따라서 흔들 발밑에 나는 티끌은 바람을 쫓아서 일어나고 해당화 그늘속의 이리가고 저리갈 제 그 때의 도련님 살펴 보시더니 마음이 으쓱 머리끝이 쭛빗 어안이 벙벙 흉중이 답답 들숨날숨 꼼짝딸싹을 못허고 눈을 번히 뜨고 방자를 부르는디,
도련님이 혼은 벌써 춘향에게 가서 있고 등신만 서서 정신없이 방자를 부르겄다."예이 ""저기 저 건너 장림숲속의 울긋불긋 오락 가락 하는 저게 무엇이냐?"눈치빠른 방자놈이 도련님이 춘향보고 넋나간 줄 벌써 알고 시치미를 뚝 따고 하는 말이,"멀 보시고 그러십니껴? 소인놈 눈에는 아무 것도 안보입니다.""이만치 와서 내 부채발로 봐라""부채발로 아니라 미륵발로 봐도 안 보입니다요""그럼 너 건너가서 보고 오너라!"방자 충충 다녀오더니,"소인 다녀왔습니다.""거 무엇이드냐?""다른 무엇 아니오라 이 고을 퇴기 월매 딸 춘향이라 하옵난디 제 본심 도고하야 기생구실 마다허고 대피넣고 물러나와 백화춘엽의 글귀나 생각하옵난디 오날이 마침 단오절이라 몸종 향단이를 다리고 추천( 韆:그네)하러 나온 줄 아뢰오.""그게 기생의 자식이란 말이냐? 그 일 잘되었구나 이 얘 방자야, 너 건너가서 내 말 전하고 불러 오너라!""아 도련님 그건 안됩니다.""어째서 안된단 말이냐?""안될 내력을 소인이 여쭙지요."
"춘향의 설부화용(雪膚花容) 남방에 유명하여 감사(監司) 병사(兵使) 목부사(牧府使) 군수(郡守) 현감(縣監) 관장(官長)님네 무수히 보랴호되 장강(莊姜)의 색과 이두(李杜:이백과 두보)의 문장이며 태상의 화순심(和順心:온화하고 순한 마음)과 이비의 정절행을 흉중에다가 품었고 금천하지절색이요 만고여중 군자 옵고 어미는 기생이나 근본이 양반이라 호래(呼來) 청키 어렵습니다."
"네 말이 무식허다. 형산백옥(荊山白玉)과 여수황금(麗水黃金)이 물각유주(物各有主)라 잔말 말고 불러 오너라!"
방자 분부듣고 춘향 부르러 건너간다. 맵씨있는 저 방자 태도좋은 저 방자 연입처 휘여 날려보며 서왕모(西王母)요지연(瑤池宴)의 편지 전튼 청조(靑鳥)같이 이리저리 건너가 춘향 추천 하는 곳 바드드득 달려들어 아니 옛다 춘향아!
"너 무슨 소리를 그렇게 지르느냐? 하마트면 낙상할 뻔 했다.""허 허 시집도 안 간 가시네가 낙태(落胎)했다네.""내가 낙상이라고 했지 언제 낙태라고 하더냐?""하하하... 그건 잠시 농담이고 여보게 춘향이 , 딱헌 일이 있어 왔네.""무슨 일이란 말이냐?""사또 자제 도련님이 광한루 구경 나오셨다가 자네 추천하는 것을 보고 불러오라 허시기에 하릴없이 건너 왔으니 어서 바삐 같이 가세.""공부하시는 책방 도련님이 나를 어찌 알고 부르신단 말이냐? 네가 도련님 턱밑에 앉어 춘향이니 난향이니 종조리 새 열씨 까듯 조랑조랑 까 바쳤지?""헣 제 행실 그른 줄 모르고 나보고 일러바쳤다고.""내가 행실 그른 게 무엇이란 말이냐?""그럼 내가 네 행실 그른 내력을 이를테니 들어봐라."
"그른 내력을 들어를 보아라. 네 그른 내력을 들어보아. 게집아해 행실로서 여봐라 추천을 헐 양이며는 네 집 후원에다 그네를 매고 남이 알까 모를까 헌데서 은근히 뛰는 것이 옳지, 광한루 머지 않고 또한 이곳을 논지하면 녹음은 우거지고 방초는 푸르러 앞냇 버들은 초록장(草綠帳) 두르고 뒷 냇 버들은 청포장(靑布帳) 둘러 한 가지는 찌여지고 또 한 가지 펑퍼져 광풍이 불면 흔들 우줄우줄 춤을 출 제 외씨 같은 네 발 맵씨는 백운간의 해뜩 홍상(紅裳) 자락은 펄렁 도련님이 보시고 너를 불렀지 내가 무슨 말을 하였단 말이냐? 잔말 말고 건너가자!"
"못 가겠다.""아니 양반이 부르시는데 천연히 못간다고?""도련님만 양반이고 나는 양반이 아니란 말이냐?""흥 너도 회동 성참판(成參判)의 기출이니 양반 아닌 것은 아니로되 너는 절름발이 양반이니 어서 건너 가자!""양반이든 아니든 나는 못가!""여보게 춘향이 오날 이 기회가 시호시호 부재내라. 우리 사또 자제 도련님은 얼골이 관옥이요, 풍채는 두목지(杜牧之)요 문장이 이 태백, 필법은 왕희지라 세대 충효대가로서 가세는 장안갑부라 남편을 얻을테면 이런 서울 남편을 얻지 시골 남편 얻을텐가?""아니 남편도 서울남편 시골남편이 다르단 말이냐?""암 다르고 말고. 사람이라는 것은 서울산세 시골산세 다 다르니라. 그러니 산세 따라서 사람도 타고나는 법이여. 내를테니 들어보소."경상도 산세는 산이 웅장허기로 사람이 나면 정직허고 전라도 산세는 촉(矗:높이 솟아 뽀족함) 하기로 사람이 나면 재주있고 충청도 산세는 산이 순순허기로 사산 세가지 북주가 되고 인왕산이 주산이요 종남산이 안산이라. 사람이 나면 선할 때 선하고 악하기로 들면 별악지성(別惡之性)이라 양반근본을 논지컨대 병조판서너를 불러 아니오면 내일 아침 조사 끝에 너의 노모를 잡아다가 난장형문(亂杖刑問)에 주릿대 방망이 마줏대 망태거리 학춤을 추면 굵은 뼈 부러지고 잔뼈 어러져 얼맹이 쳇궁기(체구멍) 진가루 새듯 그저 살살 샐테니 올테거든 오고 말테면 마라. 떨떨 거리고 나는 간다."
이렇듯 돌아서는데 춘향은 얼골을 들어 누각을 살펴보니 늠름하게 서있는 도련님이 군자의 거동이요, 맑은 기운이 사람에게 쏘이시니 열사의 기상이라. 방자를 다시 불러,"방자야 글쎄,존중(尊重)하신 도련님이 나를 부르시니 황송허나 여자의 염치 차마 못가겠다. 너 도련님께 여쭙기를 '안수해접수화해수혈'이라 이 말만 전하열."방자 돌아오니 도련님 보시고,"이놈 어찌 혼자만 오느냐?""혼자고 무엇이고 안 간다고 안 간다고 허니 가라고 가라고 하시더니 춘향이가 도련님보고 숭은 숭은 다 봅디다.""뭐라고 하드냐?""안수해접수화 해수혈(上隨海蝶隨花蟹隨穴0이라 합디다.""그래 그 일 잘 되었다. 이 얘 방자야.""예이""너 춘향집을 아느냐?""예이 아옵니다.""날더러 찾아오란 뜻이다. 춘향집을 일러라!""방자가 손을 들어 춘향 집을 가르키난디.
저 건너 저 건너 춘향집 보이난디 양양은 상풍이요. 점점 찾어 들어가면 기화요초(奇花瑤草) 난 선경을 가르키고 나무나무 앉은 새난 호사를 자랑헌다. 옥동도화만수춘(玉洞桃花萬樹春)은 유랑(劉郞)의 심은 뜻과 현도관(玄都關)이 분명허고 형지(細柳枝)난 유사무사 양유사요(有絲無絲楊柳絲)요 들출칙백 전나무는 휘휘칭칭 엉그커져서 담장 밖으로 솟아있고 수삼층 화계(花階)상의 모란 작약 영산홍이 접접이 쌓였난디 송정죽림 두 사이로 은근히 보이난 것이 저것이 춘향이 집이로소이다.
"좋다 좋다. 송죽이 울밀하고 장원이 정결하니 여이지절개(余已知節介)로다. 방자야 책실로 돌아가자."도련님 그 시부터 구경에도 뜻이 없고 글짓기도 생각없어 무엇을 잃은 듯이 섭섭히 돌아와 동헌에 잠깐 다녀 내아(內衙)에 뵈온 후에 점심상을 받었건만 밥먹기도 생각없어 책방으로 돌아와 옷을 벗어걸고 침금(枕衾)에 벗겨누니 몸은 광한루 앉인 듯 눈은 선연히 춘향을 대하는 듯 눈감으면 곁에 있고 눈만 뜨면 간 곳 없다. 깊은 상사(相思) 최심병(催心病) 도련님 어린 촌장 다 끊어져 아이고 나 못 살겠네!
도련님 실성발광이 되니 마음잡기 위하여 만권서책을 들여놓고 놀이 글로 펄적펄적 뛰여 읽난 디"맹자견(孟子見) 양혜왕(梁惠王)허신데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이요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라 대학지도(大學之道)는 재명명덕(才明明德)하며 재신민(在新民)하며 재지어지선(在之於至善)이니라. 칠월유화(七月流火) 어든 구월수의(九月授衣)로다."도련님 이게 웬 야단이시오. 도련님이 글난리를 꾸미시오. 글전을 보시오?""이 자식 듣기 싫다. 주역을 드려라. 건(乾)은 원(元)코 형(亨)코 이(利)코 정(貞)코 춘향코 내코 한데 데면 좋코 좋코." 방자 듣다."도련님 그게 무슨 책이요?""이 게 주역이다."어 주시오.""이 놈아 네 코는 상놈의 코라 여기 범치 못한다. 사략(史略)을 읽어보자. 태고라 천황씨는 이(以) 쑥떡으로 왕허시다.(太古天皇氏以木德王)"방자 어이없어"태고라 천황씨가 이 목덕으로 황하신단 말은 들었어도 쑥떡으로 왕하신단 말씀은 금시초문이요. ""네 모르는 말이로다. 태고라 천황씨가 일만팔천세에 나이 오죽 많으시냐 만년 낙치(落齒)하사 목덕은 못 자시고 물신 물신한 쑥떡을 원하시기로 관학(館學)에서 공론하고 사략판(史略版)을 고쳤기로 동도동읍(同道同邑) 향교(鄕校)에서 통문(通文) 났느니라. 이 글도 정신없어 못 읽겄다. 굵직굵직한 천자를 읽어보자. 하늘 천 따지""허허 양반댁 도련님은 치 된다는 데 우리 도련님은 내려 되시오 그려""무식한 네가 깊은 뜻을 알겠느냐. 천자라 하는 것이 칠서(七書)의 본문이라 천자 뒷풀이 하는 것을 뜻을 알면 별 맛이라 했느니라. 내 이를테니 들어보아라."
자시에 생천(生天)하니 불언행사시(不言行四時) 유유창창(悠悠蒼蒼) 하늘 천 축시微妙) 흑정색(黑正色) 북방현무(北方玄武) 감을 현 궁(宮) 상(商) 각(角) 치( ) 우(羽0 동서남북 중앙토색 누루 황 천지사방이 몇만리 하루광활(廈樓廣 ) 집 우 연대국조(年代國祖) 흥망성쇠 왕고래금 집 우 우치홍수(禹治洪水) 기자추연(箕子推衍) 홍범구주(洪範九疇) 넓을 홍 제제군생(濟濟群生) 수역중(壽域中)에 화급팔황(化及八荒) 거칠 황 요지성덕(堯之聖德) 장헐시고 취지여일(就之如日) 날 일 억조창생 격양가(擊壤歌) 강구연월(康衢煙月) 달 월 오거시서(五車詩書) 백가어(百家語)를 적안영상(積案盈箱) 촬 영 이 해가 어이리 더디긴고 일중직측(日中則徐)의 기울 측 이십팔수 하도낙서(河圖洛書) 진우천강(辰宇天岡:북두칠성) 별 진 가련금야(可憐今夜) 숙창가(宿娼歌)라 원앙금침 잘 숙 절대가인 좋은 풍류 나열준주(羅列酒) 버릴 열 의희월색(依稀月色) 삼경야의 탐탐정회(耽耽情懷) 베풀 장 부귀공명 꿈밖이라 포의한토(布衣寒土) 찰 한 인생이 유수같아 세월이 절로 올 래 남방천리 불모지대 춘거하래(春去夏來) 더울 서(暑) 공부자의 착한 도덕(道德)이왕지사 갈 왕(往) 상풍(霜風)이 소술(簫瑟) 추서 방지초목(方知草木)이 황락(黃落) 가을 추(秋) 백발이 장차(將次) 오게 되면 소년풍도(少年風度) 거들 수(收) 낙목한천(落木寒天) 찬바람에 백설강산(白雪江山)의 겨울 동(冬) 오매불망(寤寐不忘) 우리 사규중심처(閨中深處) 감출 장(藏) 부용작약(芙蓉芍藥)의 세우중(細雨中)의 허정석기(虛庭石氣:정원에 비가 내리어 돌에 비가 적시었다.)부를 윤(閏) 저러한 좋은 노니다 부지세월(不知歲月) 해 세(歲) 조강지처(糟糠之妻)는 박대(薄待) 못하느니 대전통편(大典通編)의 법중율(法重律) 춘향과 나와 단 둘이 앉어 법중 여(呂)자로 놀아보자. 이리 한참 읽어가더니마는,"보고지고 보고지고 우리 춘향 보고지고 추천하든 그 맵시를 어서어서 보고지거."
이렇게 소리 질러노니 안에서 사또 들으시고 놀래시어,"이리 오너라.""예이.""책방에서 응당 날 만한 글 소리는 아니나고 어느 놈이 생침을 맞느냐. 손아귀 힘센 놈에게 신 다리뼈를 주물리느냐 웬소리가 이리 요란허며 보고지거 소리가 웬일인고! 사실하여 아뢰여라! "통인이 책방을 나가,"쉬이 도련님은 뭣을 그리 보고지고 소리를 지르셨기에 사또 들으시고 놀래시여 알어오라 야단이 났소."도련님이 듣더니,"야속한 일이다. 다른 집 노인네는 이롱증(耳聾症)도 계시드구만 우리집 노인네는 늙어 가실사록 귀가 더 밝아지나부다. 이얘 큰일났구나. 이런 때는 거짓말이 약이니라 내가 논어를 읽다 차호(嗟乎)라 오소야(吾衰也) 몽불견(夢不見) 주공(周公) 이라는 대문을 보다 나도 주공을 보아지다. 흥취로 소리가 높았습니다. 라고 여쭈어라.!"통인이 사또전 그대로 여쭈었겄다. 사또 들으시고 공부하는데 취미를 꼭 부친 듯 싶어 자랑을 허실 량으로 책방의 목낭청(睦郎廳)을 청했겄다. 낭청이 사또 턱밑에 바싹 꿇어 앉으며,"불러 계시오니까?""자네 듣게 !""들으라니 듣지요.""기특하거든.""기특하지요.""거 묘 헤여.""묘허지요.""재주가 절등(絶等)이여."" 재주가 절등이지요.""저네 뉘 말인 줄 알고 대답을 저리 부지런히 허나?""사또는 뉘말을 그리 부지런히 하시오?""아 우리 몽룡이 말이야.""사또님이 몽룡이 말이면 나도 몽룡이 말이지요."이렇듯 자랑이 낭자(狼藉)헐 제 그렁저렁 십오일이 되니 춘향집 가고 싶은 마음 일각이 여삼추라 해지기를 기다릴제
이윽고 퇴령(退鈴) 소리 하인 불려라 청령나니 도련님이 좋아라고 방자 불러 앞세우고 춘향집을 건너갈 제 청조의 편지보고 주문황의 요지 찾듯 차츰차츰 첮어갈제 춘향집을 당도허여 대문 안을 들어서 좌우로 살펴보니 동편에난 죽림이요 그 앞에 연당있고 연당가에 벽오동은 청풍에 건 듯 맑은 이슬이 뚝 떨어지니 잠든 학이 놀래깨여 다리쉬엄을 하노라고 한 나래는 사우리고 또 한 나래 반만 펴고 징검 꾸붓 뚜루 뚜루 낄룩 그도 또한 경이로구나. 가만 들어갈 제 문전의 청삽사리 킝킝 짖고 쫓아 나오니 건넌방 춘향모친 개를 쫓으면 나오는구나.저 개야 짖지마라. 공산에 잠긴 달 보고 짖느냐. 망월폐견(望月吠犬)이라...
출처 : Daum 지식
글쓴이 : olivier21님 원글보기
메모 :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세상에 이런일이/수석 수집가 (0) | 2014.02.10 |
---|---|
[스크랩] 和順 細良提 (0) | 2013.10.11 |
[스크랩] 성경(개역개정) 텍스트 (0) | 2013.04.17 |
[스크랩] 주례사 모음 (0) | 2012.11.27 |
[스크랩] 동서양 명언모음 (0) | 2011.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