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요임금과 욍비 ( 2018년 3월 16일 금요일 출석부) 요임금과 욍비 고대 중국 역사상 가장 살기 좋은 태평성대를 구가했다는 요순시대(堯舜時代)의 이야기 입니다. 요 임금이 민정시찰을 나갔다. 만백성이 길가에 부복하여 왕의 행렬에 마음으로 박수를 보내고 왕에게 무한한 존경과 복종의 뜻을 보였다. 그런데 기현상이 발생했다. 길가 .. 지혜 2018.03.22
[스크랩] 옛날 오복(五福)과 현대 오복(五福) ( 2018년 3월 1일 목요일 출석부) 옛날 오복(五福) ♤. 첫째는 수(壽) 오래오래 죽지 않고 천수(天 壽)를 다함이 복이다. - 오래 사는 것(壽), ♤. 둘째는 부(富) 남에게 손해를 끼치지 않고, 남을 괴롭히지 않으며, 살아가는데 불편하지 않을 만큼의 재물을 소유하는 것. - 경제적으로 풍족하게 사는 것(富), ♤. 셋째는 강녕(康.. 지혜 2018.03.02
[스크랩] 문왕과 강태공 ( 2018년 2월 27일 화요일 출석부) 문왕과 강태공 주나라 문왕이 사냥을 나갔는데 그날따라 한 마리의 짐승도 못 잡고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실망한 문왕이 강가를 지나가는데 웬 노인이 낚시하고 있었습니다. 문왕이 노인에게 말을 건넸습니다. "낚시를 즐겨 하시나 봅니다." 그러자 노인이 대답했습니다. "일을 함에 .. 지혜 2018.03.01
[스크랩] 정직보다 큰 재산은 없다 ( 2018년 2월 8일 목요일 출석부) 정직보다 큰 재산은 없다 한 젊은이가 어느 장터 길가에 떨어진 가방을 주웠습니다. 그 가방 안에는 누구라도 욕심을 부릴 만큼 상당한 거금이 들어있었습니다. 돈 가방을 들고 주변을 살피던 젊은이는 무슨 생각을 했는지 가방을 바닥에 툭 던져 놓고 그 위에 털썩 주저앉아 한가로이 햇.. 지혜 2018.02.20
[스크랩] 옛 선인들의 시조와 동양화 ( 2018년 2월 16일 금요일 출석부) 옛 선인들의 시조와 동양화 탄노가 (嘆老歌)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려터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우탁 (1263~1343) 호는 역동, 고려 충숙왕때의 학자 하여가 (何如歌)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 지혜 2018.02.20
[스크랩] 천만금 같은 당신 ( 2018년 2월 1일 목요일 출석부) 천만금 같은 당신 중국 남북조 시대의 남사(南史)에 보면, 송계아(宋季雅)라는 고위 관리가 정년퇴직을 대비하여 자신이 노후에 살 집을 보러다닌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는 천백만금을 주고 여승진 (呂僧珍)이란 사람의 이웃집을 사서 이사 하였죠. 백만금 밖에 안되는 그 집값을 천백만.. 지혜 2018.02.01
[스크랩] 오유지족(吾唯知足)한 삶 ( 2018년 1월 2일 화요일 출석부) 오유지족(吾唯知足)한 삶 나 오(吾),오직 유(唯), 알 지(知),족할 족(足) "나 스스로 오직 만족(滿足)함을 안다."라는 뜻이다. 이 네 글자 모두 입 구(口)자가 들어간다. 그래서 중간(中間)에 입 구(口)자를 배치(配置)하고 오(吾),유(唯),지(知),족(足)네 글자가 좌우(左右)상하(上下)에 배치(配置.. 지혜 2018.01.11
[스크랩] 사랑하는 분께 드리는 보약 30첩 ( 2018년 1월 10일 수요일 출석부) 사랑하는 분께 드리는 보약 30첩 01 당신 갈수록 더 멋있어. 02 당신 음식 솜씨 일품이야. 03 역시 나는 처복이 많아. 04 당신 왜 이리 예뻐졌어? 05 역시 장모님밖에 없어. 06 여보 사랑해요! 07 다 당신 기도 덕분이다. 08 당신 옆모습은 마치 그림 같아. 09 당신은 애들 키우는 데 타고난 소질이 .. 지혜 2018.01.11
[스크랩] 보왕삼매론(寶王三昧論) ( 2018년 1월 11일 목요일 출석부) 보왕삼매론(寶王三昧論) '보왕삼매론'은 중국 명나라 때 '묘협'이라는 스님이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에 어떤 마음 가짐으로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가르침을 설파한 내용으로써, 사람이 살아 가는데 필요한 10가지 금언으로 되어 있다. 1. 몸에 병이 없기를 바라지 마라. (念身不求無病) 2. .. 지혜 2018.01.11
[스크랩] 月下獨酌(월하독작) 全編 / 李太白(이태백) (12월 30일 토요일 출석부) 月下獨酌(월하독작) 全編 / 李太白(이태백) 이백(李白, 701~762)은 당나라의 저명한 시인으로 자는 태백, 호는 청련거사 라고함.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 최고의 고전시인으로 꼽힌다. 당시 문단의 거장 하지장(賀知章, 659-744)은 이백을 '적선(謫仙)' 이라는 찬탄을 했다한다, ('적.. 지혜 2017.12.30